728x90 반응형 SMALL 네트워크9 OSI 7 * Layer 1 - Physical장치간의 물리적인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최하위 계층이다.기능데이터 부호화 방식, 신호형식, 데이터 충돌 감지 등을 정의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및 절차적 특성을 고려전송매체를 통한 실제의 비트(bit) 전송대표적인 프로토콜: RS-232C, RS-449, CDMA PHY, Coax, Fiber, Microwave, Satellite 1)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온 이진 데이터가 물리 계층으로 전달됨.2) 물리 계층에서 데이터를 모뎀을 사용하여 변조(Modulation)하여 전송 매체(Transmission Medium)를 통해 보냄.3) 수신 측의 물리 계층에서 모뎀을 통해 데이터를 복조(Demodulation)하여 다시 이진 데이터로 변환.4) 데이.. 2025. 3. 18. [네트워크] 통신 이해 * 통신통신이란 2개 이상의 개체 사이에서 어떤 정보를 주고받는 행위를 말한다.통신에 필요한 요소: 정보원(message), 송/수신자, 통신매체, 프로토콜(공통된 약속)통신망(network): 통신을 위한 장비와 선로의 집합(단말기, 선로, 교환기)네트워크 프로토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규약 * 데이터 통신데이터통신이란 전자기 또는 광 등의 전송매체를 통하여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여기서 데이터란 사용자 간에 합의된 형태의 정보를 말한다.송신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장치(컴퓨터, 카메라, 스마트폰, 센서 등)수신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장치전송매체: 물리적 매체나 통로(케이블)프로토콜: 데이터 통신을 관리하기 위해 약속된 통신 규약들의 모음매시지: 통신을 이루는 정보나 데이터(텍.. 2025. 3. 17. 소켓 통신 * 소켓 프로그래밍이란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소켓(socket)은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네트워크를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연결 지점 역할을 한다. - TCP 소켓: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연결 기반)- UDP 소켓: 빠르지만 신뢰성이 부족한 데이터 전송(연결 없음) 서버1. 소켓을 생성한다.2. IP 주소 및 포트번호를 설정하고, 바인딩한다.3.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다린다. (listen)4. 클라이언트 요청이 오면 연결을 수락한다.(accept)5.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6. 작업이 끝나면 종료한다. 클라이언트1. 소켓을 생성한다.2. 서버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지정하여 연결을 요청한다. (conn.. 2025. 3. 16. [데이터 통신] Network layer * Internet Protocol(IP)IP는 CL 방식이기 때문에 unreliable 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따라서 IP packet이 전달되는 동안 분실되면 재전송이나 복구하지 않는다.IP는 Best effort service로 IP packet을 전달하지만, packet이 분실되지 않는다고 100% 보장할 수 없다. * IP AddressingIP 주소는 4바이트로, network id와 host ID 부분으로 구분한다. 1st 바이트의 MSB 값에 따라 A, B, C, D, E class로 구분한다. * Address 분류- unicast: 수신 호스트가 하나인 경우 할당되는 주소- multicast: 수신호스트가 group인 경우 할당되는 주소- broadcast: directed broadca.. 2024. 4. 8.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