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네트워크] 통신 이해

by JooRi 2025. 3. 17.
728x90
반응형
SMALL

 

* 통신

통신이란 2개 이상의 개체 사이에서 어떤 정보를 주고받는 행위를 말한다.

  • 통신에 필요한 요소: 정보원(message), 송/수신자, 통신매체, 프로토콜(공통된 약속)
  • 통신망(network): 통신을 위한 장비와 선로의 집합(단말기, 선로, 교환기)
  • 네트워크 프로토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규약

 

* 데이터 통신

데이터통신이란 전자기 또는 광 등의 전송매체를 통하여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데이터란 사용자 간에 합의된 형태의 정보를 말한다.

데이터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통신 시스템 기본 구조

  • 송신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장치(컴퓨터, 카메라, 스마트폰, 센서 등)
  • 수신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장치
  • 전송매체: 물리적 매체나 통로(케이블)
  • 프로토콜: 데이터 통신을 관리하기 위해 약속된 통신 규약들의 모음
  • 매시지: 통신을 이루는 정보나 데이터(텍스트, 사진, 소리, 영상 등), layer별로 다르게 불림

 

위성 통신 시스템

  • 지구 송신국: 데이터를 위성으로 보내는 역할
  • 업링크: 송신국에서 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
  •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시 지구로 송신
  • 다운링크: 위성에서 지구 수신국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경로
  • 지구 수신국: 위상에서 보낸 신호를 받아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 통신 시스템 성능 평가 요소

1. 전달: 데이터를 정확한 목적지에 전달해야 한다.

2. 정확성: 데이터가 변형/수정/손실 없게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

3. 적시성: 정해진 시간 내에 순서대로 과도한 지연 없이 데이터를 전달해야 한다.

4. 파형난조: 패킷 도착시간이 조금씩 다른 것의 범위 (Delay Variation)

 

* 데이터 흐름 방향

데이터 흐름 방향

1. 단방향(simplex): 한 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 (키보드, 모니터, 방송 등)

2. 반이중(half-duplex)): 양방향통신이 가능하나 한순간에는 한 방향만 가능 (대부분의 무선통신)

3. 전이중(full-duplex): 언제라도 양방향 통신이 가능 (대부분의 유선통신)

 

* 네트워크

미디어 링크로 연결된 장치(노드)들의 모음을 말한다.

장치로는 컴퓨터, 프린터, 센서 노드, 핸드폰 등이 있다.

네트워크 평가 기준으로는 성능, 신뢰성, 보안이 있다.

 

* 네트워크 물리적 구조

연결 형태
물리적 접속 형태

 

* 네트워크 범위 분류

 

  • WWAN (무선 광역 네트워크)
    • 가장 넓은 범위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 위성 통신, 이동통신(3G, 4G, 5G) 등을 포함.
    • 장거리 이동 시에도 인터넷 접속 가능.
  • WMAN (무선 도시권 네트워크)
    • 도시 내에서 광범위한 무선 접속을 제공.
    • WiBro, WiMax 같은 기술이 사용됨.
    • 도시 단위의 공공 네트워크, 캠퍼스 네트워크 구축에 활용.
  • WLA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 Wi-Fi(802.11)가 대표적.
    • 가정, 카페, 학교, 사무실 등 500m 이내의 무선 네트워크.
    • 고속 인터넷 제공 가능하지만, 거리 제한이 있음.
  • WPAN (무선 개인 네트워크)
    • 개인 장치 간의 근거리 통신.
    • Bluetooth, ZigBee, RFID 등이 포함됨.
    •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스마트 홈 기기 연결에 사용.

 

 

 

  • WAN (광역 네트워크)
    •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 IMT-2000, CDMA2000, UMTS(3G, 4G, 5G 이동통신 기술) 포함.
    • 장거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만 속도가 제한될 수 있음.
  • MAN (도시권 네트워크)
    • 도시 단위의 네트워크.
    • GSM, GPRS, 공공 WLAN 등을 포함.
    • 도시 내에서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을 제공.
  • LAN (근거리 네트워크)
    • 사무실, 학교, 공공기관 등에서 사용.
    • 유선 LAN 또는 무선 LAN(Wi-Fi)이 포함됨.
    •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만, 범위가 제한됨.
  • PAN (개인 네트워크)
    • 개인 장치 간의 연결(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등).
    • Bluetooth, ZigBee 기술이 대표적.
    • 저전력, 짧은 거리 내에서 데이터 교환이 가능.

 

* 포로토콜(통신규약)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필요한 규칙과 절차를 정의하는 것.

주요 요소는 아래와 같다.

  • 문법(syntax): 데이터의 구조와 형식(format)을 정의
  • 의미론(semantics): 데이터의 각 비트(bit)의 의미를 정의
  • 타이밍(timing): 데이터가 언제 전송되어야 하는지와 속도를 조절

 

* RFC

RFC(Request For Comments)는 인터넷 표준을 정의하는 문서이다.

RFC 완성 단계는 아래와 같다.

  • Internet Draft - 초안 단계.
  • Proposed Standard - 제안된 표준.
  • Draft Standard - 표준 후보.
  • Internet Standard - 공식 인터넷 표준.
  • Historic -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표준.
  • Experimental - 실험적인 기술.
  • Informational - 정보 제공용 문서

 

RFC 요구 단계는 아래와 같다.

  • Required RFC - 필수 표준 (예: IP, ICMP).
  • Recommended RFC - 권장 표준 (예: FTP).
  • Selective RFC - 선택적 적용.
  • Limited RFC - 제한적으로 적용.
  • Not Recommended RFC - 권장되지 않음

 

* 표준화

1. ISO

1947년 설립된 국제 표준 기구로, 과학, 기술, 경제 분야에서 국제 표준을 제정.

 

2. ITU-T

전 세계 전기통신 표준을 개발하는 기관.

대표적인 표준에는 V 시리즈 (모뎀 통신), X 시리즈 (데이터 통신), 4G(IMT-Advanced) 이동통신 표준이 있다.

 

3. IETF

IPv4, IPv6, MIPv6 등의 Internet 표준화

 

4. ITU-R

위성 통신, IMT-Advanced(5G) 관련 표준 개발.

 

5. ANSI

ISO 및 ITU-T의 미국 대표 기관, 미국 내 표준을 제정 및 관리.

 

6. IEEE

네트워크, 전자, 전기공학 표준을 개발하는 세계 최대 기술 협회.

대표적인 네트워크 표준에는 Ethernet (유선 LAN), WLAN (Wi-Fi, 802.11 시리즈), WPAN, WMAN (ZigBee, WiMax 등)이 있다.

 

7. EIA

미국 내 전자 산업 관련 표준 제정. (예: EIA-232-D (직렬 통신 표준), EIA-530)

 

 

 

728x90
반응형
LIST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0) 2025.03.18
소켓 통신  (0)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