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전공수업 81

[정보보안] 시스템보안 운영체제

* 정보보안이란?컴퓨터에서 다루는 정보보안은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수신 도중에 정보의 훼손, 변조,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 기술적 방법을 의미한다. 정보보호란 정보를 제공하는 공급자 측면과 사용자 측면에서 논리적이고 물리적인 장치를 통해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으며, 정보보호의 기술, 암호화 기술, 해킹과 정보보호, 컴퓨터 바이러스, 시스템 보안, 네트워크 보안, 전자상거래 보안, 웹과 전자우편 보안 등 컴퓨터보안 전반에 걸쳐 학습하는 분야이다.일반적으로 정보는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가용성(availability)을 유지해야 한다. * 운영체제의 개요1. 운영체제란?- 시스템 소프트웨어 중 핵심이 되는 프로그램- 하드..

[이동통신] 무선통신, 위성통신, 마이크로파와 라디오파, TV 방송과 DMB

* 무선통신- 지구 대기에서 전자기파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 1. 무선통신의 응용 분야 2. 전파의 특성과 종류1) 전파란 무엇인가?- 인공적 매개물 없이 공간에 전달하는 3000GHz보다 낮은 주파수의 전자파 (전파법 제2조)- 전계와 자계의 시간적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파동- 전파(전자기파)는 맥스웰이 예측하고, 헤르츠가 발견했으며, 마르코니가 통신에 이용한 기술이다. 2) 전파의 발견- 맥스웰 방정식 : 전파존재에 대한 예언- 헤르츠의 실험 : 전파의 포작, 맥스웰 이론 확인- 전파의 응용 : 무선통신에 이용(무선전신기, 마르코니) 3) 전파의 특성 3. 다중화 기술 - 무선통신에서 사용되는 정보전송의 다중화- 하나의 무선통신로(주파수 대역)를 여러 가입자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통신의 이해

* 통신의 개념1. 통신이란 무엇인가?- 정의: 상대방에게 여러 가지 신호를 주고, 받는 행위- 목표: 좀 더 많은 내용을 좀 더 멀리 그리고 좀 더 빨리 전달하는 것 2. 신호란 무엇인가?- 정의: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다양한 내용들(정보, 소식, 생각, 의견 등)- 형태: 인간의 오감에 근거- 거리 제한에 따라 다양한 통신 수단의 필요성이 발생 3. 여러 가지 통신 수단- 전기가 사용되기 이전 통신수단 : 사람(도보, 말 등), 불(봉화 등), 소리(북소리, 피리소리 등) 등- 전기를 이용한 통신의 시작1838년 : 전기를 이용한 신호 전달 성공1896년 : 전파를 이용한 신호 전달 성공1912년 : SOS 신호를 이용하여 ‘타이타닉’호의 침몰을 알림1992년 : 국제해상기구(IMO)는 ..

[영상처리] Spatial Domain Filtering(공간 영역 필터링)

* Spatial Domain Filtering (공간 영역 필터링)공간 영역 필터링은 이미지의 픽셀 값을 직접적으로 처리하여 이미지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기법이다.각 픽셀의 새로운 값을 계산하기 위해 해당 픽셀과 주변 픽셀들의 값을 활용하며, 이를 통해 노이즈 제거, 블러링 등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대표적인 공간 영역 필터링 기법으로는 아래와 같다.- 스무딩 필터링(Smoothing Filtering): 노이즈를 제거하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생성. - 샤프닝(Sharpening): 이미지의 세부 사항을 선명하게 강조. - 가장자리 검출(Edge Detection): 경계를 강조하여 객체의 윤곽을 탐지. * Smoothing Filtering (스무딩 필터링)스무딩 필터링은 공간 영역 필터링 중 ..

[영상처리] 히스토그램 매칭(Histogram Matching)

2024.11.18 - [전공수업/영상처리(C언어)] - [영상처리]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영상처리]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히스토그램(Histogram)히스토그램은 각 밝기 값(0~255)에 해당하는 픽셀의 빈도수 분포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래프로, 이를 통해 이미지의 대비, 밝기 균형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히스토그램이 왼djjin02.tistory.com * 히스토그램 매칭(Histogram Matching)히스토그램 매칭은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타겟 이미지의 히스토그램과 유사하게 조정하는 이미지 처리 기법으로, 원본 이미지의 밝기 분포(히스토그램)를 타겟 이미지의 밝기 분포와 일치시킨다.히스토그램 매칭은 두 이미지가 ..

[영상처리]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 히스토그램(Histogram)히스토그램은 각 밝기 값(0~255)에 해당하는 픽셀의 빈도수 분포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래프로, 이를 통해 이미지의 대비, 밝기 균형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히스토그램이 왼쪽으로 치우쳐 있으면 해당 화소의 값이 전체적으로 작아서 영상의 밝기가 어두워지고,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으면 영상이 밝아진다. 또한 히스토그램이 아주 좁은 범위에 분포되어 있으면 가장 어두운 명도와 가장 밝은 명도의 차이가 적기 때문에 명암 대비가 좋지 않고, 히스토그램이 넓게 분포되어 있으면 밝기의 차이가 커서 명암 대비가 좋다. 예를 들어, 픽셀 값 0이 10000번 나타났다면, 히스토그램의 0 위치에 높이가 100000인 막대가 그려진다. 이때 히스토그램의 빈도수를 전체 픽셀 수로 나눈 비율인 P..

[영상처리] Binary Image (OpenCV, C언어)

* Binary Image이미지의 평균 밝기값을 기준으로 각 픽셀을 밝거나 어둡다고 판단하여 바이너리 이미지로 변환 생성한다.  1. 모든 픽셀 값을 구한다. 픽셀 값은 0~255 사이의 값으로, 밝기를 나타낸다.2. 픽셀 값의 합을 총 픽셀 수(행x열)로 나누어 평균 밝기를 구한다.3. 각 픽셀을 순회하며 해당 픽셀값이 평균 밝기보다 크면 255(흰색), 작으면 0(검은색)을 할당한다. * 블록 바이너리화이미지를 일정 크기의 블록 단위로 나누어, 각 블록 내에서 독립적으로 평균 밝기를 계산하고, 그 평균을 기준으로 바이너리 이미지로 변환 생성한다.이미지 전체의 변화가 아닌 블록 내부의 밝기를 비교하여 더 정밀한 처리를 수행한다.  1. 이미지를 블록 단위로 순회한다. 2. 각 블록 내 모든 픽셀 값을 ..

[블록체인] Block Structure

* Bitcoin Transaction (비트코인 거래)1. 트랜잭션 생성 및 서명비트코인 트랜잭션 내용을 개인키(비밀키)로 서명한다. 전자 서명의 동작 원리는 아래와 같다. 1) 해시 생성평문 원본 문서가 해시함수를 통과하여 해시 값을 생성한다.2) 암호화 및 전송(전자서명 생성 및 전송)발신자는 비밀키(개인키)를 통해 위에서 생성된 해시를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해시값은 전자서명이 된다. 암호화된 서명이 포함된 메시지가 수신자에게 전송된다.3) 해시값 복호화(전자서명 검증)수신자는 발신자의 공개키를 사용하여 발신자의 개인키로 암호화된 원본 해시 값을 복호화한다. 복호화된 해시값과 수신자 자신이 새로 생성한 해시값을 비교하여 두 값이 일치하면 중간에 변조되지 않았다는 메시지의 무결성이 확인된다. 2. 트..

[블록체인] 암호화

* 암호화1. 대칭키 암호화(Symmetric Key Cryptography)대칭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한다.송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비밀키(private key)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대칭키 암호화는 속도가 빠르지만, 키 분배 문제가 큰 단점이다.송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비밀키를 가져야 하는데, 이 키를 어떻게 안전하게 전달하느냐가 문제이다. 만약 키를 도난당하면 모든 통신이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칭키 암호화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에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와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가 있다. 2. 비대칭키 암호화(Asymmetric Key Cryptography)비대칭키 ..

라즈베리파이 원격 접속 (XRDP, VNC Viewer, PuTTY, Samba)

* 라즈베리파이 원격 접속원격 제어를 하려면, 라즈베리파이와 노트북이 같은 네트워크(공유기/AP) 안에 있어야 한다.  1. XRDP(X-Window Remote Desktop Protocol)X-Window 기반 원격 접속 프로토콜이다.  sudo apt-get install 명령으로 xrdp 패키지 설치.  ip 주소 확인.  윈도우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실행하여 ip 주소 입력.  라즈베리파이 아이디와 패스워드 입력.  2. VNC(Virtual Network Computing)RFB(Remote Frame Buffer)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를 제어하는 GUI 기반 데스크톱 공유 시스템이다.  https://www.realvnc.com/en/connect/download/vie..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