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이란?
시스템을 개방한다는 것은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에 대한 규격(specification)을 정의하는 것이며, 구현 방식에 관해서는 정의하지 않는다.
* OSI 7 Layers
- OSI 7 계층은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에서 정보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체계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제시한 계층구조이다.
- OSI 모델은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며, 각 계층은 개방형 시스템이다.
- 가장 상위계층은 응용 계층이고 가장 아래에는 물리 계층이다.
- 물리, 데이터링크 계층은 하드웨어로 구현된다.
- 네트워크, 전달(transport) 계층은 운영체제에 포함되어 있다.
- 세션, 표현, 응용 계층은 응용소프트웨어에 구현된다.
- osi 모델을 참조 모델이므로 실제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불필요한 계층이 제외되어 7개의 계층으로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 송신-수신 흐름도
송신자가 계층을 따라 데이터를 하위로 보내고, 수신자가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받아 분석한다.
* Physical Layer (물리계층)
- 가장 하위계층으로,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 광케이블, 구리선, 무선 등 media의 물리적인 특성과 인터페이스 규격이 정의된다.
- 신호(signal)에 대한 정의
- Connector를 위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의
- 정보 송수신 단위는 bit이다.
- 송신 측에서 bit를 표현하는 signal을 송신한다.
- 0과 1로 된 신호에 보낼 정보가 실려간다.(Carrier Signal, Bit Stream)
- 이 신호가 가는 길이 케이블이다.(송수신 연결되어 있음)
- 수신 측에서 수신된 신호를 바탕으로 0을 보냈는지 1을 보냈는지 판단한다.
- 이 경우 잡음(noise)의 영향으로 송신 신호가 왜곡되면 수신 장치에서 bit 값을 잘못 판단할 수 있는데, 물리계층은 bit error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 따라서 상위 계층인 data link에서 error를 검증하게 된다.
* Data Link Layer (데이터링크 계층)
- 하나의 link에 대하여 reliable 한 data의 전달 기능을 보장한다.
- 물리계층에서는 tansmission media(구리선, 광케이블, 무선 등)에 대한 구분이 필요한데,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구분하지 않고 송수신 측이 link 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정보를 교환한다.
- link는 두 계층 간 연결된 가상 통로라고 생각하면 된다. 실제로는 물리계층의 transmission media를 이용한다.
- 정보 송수신 단위는 frame이다. 송신 측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가상 터널인 링크를 통해 수신 측 데이터링크 계층에 frame을 송신한다.
- 링크 종류
- P2P(Point-to-point link): 하나의 물리적인 port에 다른 port가 transmission media를 통해 직접 연결
- P2MP(Point-tp multipoint link): 하나의 port에서 신호를 송신하면 연결된 다른 모든 port로 신호 broadcast
*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 link와 link의 연결은 node에 의해 이루어진다.
- 네트워크에서 각 노드를 구분하기 위해 식별자인 network address가 필요하다.
- 데이터링크 계층은 하나의 link인 상황에서 기술되는데, 송수신 호스트가 하나의 link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여러 개의 link를 경유하여 연결된다. 이때 네트워크 계층에서 여러 경로 중 가장 최적의 경로(routing)를 찾는 기능이 요구된다.
* Transport Layer (전달 계층)
- end-to-end로 reliable 한 data 전달 기능을 보장한다.
- 송수신 호스트가 여러 개의 링크로 연결되는 경우, 특정 링크에 대하여 error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에러가 발생한 frame은 discard 된다.
- discard 된(분실된) frame은 데이터링크 계층의 상위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처리한다.
- 네트워크 계층 입장에서는 frame에 담긴 packet이 분실된 것이기 때문에 packet 분실에 대한 처리를 한다.
- 만약 네트워크 계층에서 책임을 지지 않으면 상위 계층인 transport에서 frame을 처리한다. frame이 discard 되면 packet이 discard 되는 것이고 packet에 있는 segment가 discard 되는 것이다.
- 송신 호스트에서 segment에 번호(sequence number)를 붙여서 보내고 수신 호스트에서 분실된 segment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호스트의 transport 계층에서 분실된 segment를 다시 보내도록 요청한다.
- 송수신 호스트의 데이터 처리 능력 및 시스템 resource 차이로 송수신할 수 있는 data 양이 다른 경우, 송수신 호스트 사이 흐름제어(flow control) 기능이 필요하다.
* Session Layer (세션 계층)
- Application layer protocol entity 간의 communication(dialog) channel을 개설(setup)하고 및 해제(release) 기능
- Protocol entity 간 data exchange를 관리 (dialog control)
- Duplex: 양쪽 entity가 동시에 data 송수신 가능
- Half duplex: 하나의 entity가 송신 완료 후 다른 entity에서 data 송신
- Protocol entity 간 transaction이 긴 경우 주기적으로 synchronization point를 설정
- transaction 도중 fault 발생 시 가장 최근에 설정한 synchronization point부터 다시 transaction 시작
* Presentation Layer
* Application Layer
728x90
반응형
LIST
'클라우드 아키텍처 전문가 양성과정 > 네트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통신의 이해를 위한 기본 용어 (0) | 2025.07.19 |
---|---|
[Packet Tracer] 라우터 인터페이스, 스위치 VLAN IP, PC 설정 (0) | 2025.07.11 |
[Packet Trace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2) | 2025.07.11 |
[Packet Tracer] 통신 흐름 계층별 동작 (2) | 2025.07.10 |
Layered Architecture(계층 구조) (0) | 2025.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