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기업의 계층적인 직급 구조
- 각 직급에 따른 역할이 정해져 있다.
- 상위 직급자는 하위에 업무를 지시하고, 하위는 그 일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상위에 보고한다.
- 하위 직급자가 업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면 상위가 책임진다.
- 상위와 하위 직급자 사이에는 업무 지시 및 결과보고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이 필요하다.
* 계층 구조란?
컴퓨터, 라우터, 교환시스템(switching system) 등 정보통신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기술하기 위한 모델이다.
정보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최종 사용자(end user)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계층에서 수행해야 하는 기능(function)이 정의되어 있다.
* 계층 구조의 동작
-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에 서비스를 request 하고 하위는 처리(processing) 후 결과를 상위에 전달한다.
- 상위의 서비스 요청을 받은 하위는 자신이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처리하고, 필요시 하위 계층을 호출하여 요청을 처리한다.
- 상위는 하위에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에 대해 관여하지 않는다. 즉, 구현하는 방식은 정의하지 않고 인터페이스에 대하여만 규정한다.(개방형 시스템)
* 컴퓨터에서의 계층 구조
컴퓨터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분한다.
소프트웨어는 다시 OS(운영체제)와 Application(응용 소프트웨어)로 구분된다.
* 계층 구조의 예
Device driver는 운영체제의 일부분으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728x90
반응형
LIST
'클라우드 아키텍처 전문가 양성과정 > 네트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통신의 이해를 위한 기본 용어 (0) | 2025.07.19 |
---|---|
[Packet Tracer] 라우터 인터페이스, 스위치 VLAN IP, PC 설정 (0) | 2025.07.11 |
[Packet Trace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2) | 2025.07.11 |
[Packet Tracer] 통신 흐름 계층별 동작 (2) | 2025.07.10 |
OSI Model (0) | 2025.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