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클래스(class) 단위로 프로그래밍하는 것이다.
자바 언어는 객체지향 언어이므로 객체 단위로 프로그래밍해야 한다.
여기서 객체(object) 단위로 프로그래밍한다는 것은 클래스(class) 단위로 프로그래밍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각 객체마다 기능이 있듯이, 클래스마다 동작이 있다. 여기서 동작은 function, method라고 한다.
* 객체와 클래스
자바에서 자료형은 기본자료형(PDT)과 사용자정의자료형(UDDT)으로 나뉘는데, 사용자정의자료형(새로운 자료형)을 만드는 도구가 클래스이다.
개발자가 다루는 데이터는 대부분 객체 데이터이며, 객체데이터는 여러 개의 변수(여러 개의 구조)로 이루어진 데이터이다.
이러한 객체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자료형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발자가 직접 자료형을 만들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책 데이터 한 권을 저장할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 책이라는 자료형을 만들 수 있다.
// 책 자료형 생성
public class Book {
public String title;
public int price;
public String company;
public String author;
public int page;
public String isbn;
}
책이라는 자료형을 만들었다면 변수에 책을 저장하기 위해서 변수를 선언하고 객체를 생성해야 한다.
Book a; // 변수 선언(기억공간 생성), a는 객체 변수(객체를 담는 변수)
new book(); // new 생성 연산자와 생성자 메서드로 객체 생성(실체 생성)
a=new Book(); // 생성된 객체 저장, a는 인스턴스 변수(참조형 변수, 실체를 가리키는 변수)
한 권의 책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기 위한 최종 코드는 아래와 같다.
public class Book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k a=new Book(); // 한 권의 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객체 생성(인스턴스 생성)
a.title="자바"; // 속성 = 프로퍼티 = 멤버변수 = 상태변수
a.price=30000;
a.author="김주리";
a.page=200;
a.isbn="1199110";
System.out.println(b.title+"\t"+b.price+"\t"+b.company+"\t"+b.author+"\t"+b.page+"\t"+b.isbn);
}
}
// 출력: 자바 30000 김주리 200 1199110
728x90
반응형
LIST
'WEB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REST API - GET (0) | 2024.07.12 |
---|---|
[Java] 클래스로 객체 모델링 (0) | 2024.04.09 |
[Java] 메서드(Method) - 매개변수 전달 기법, 메서드 오버로딩 (1) | 2024.04.08 |
JavaSE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 (0) | 2024.01.29 |
자바 개발환경 구축(JDK 11, IntelliJ) (0) | 2024.01.03 |
댓글